본문 바로가기
정보

[정보]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의 모든 것

by 드가자고 2023. 4.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장가입자들은 3월 초에 연말정산이 끝나고 4월에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이 시행됩니다. 소득 변화에 따라 보험료도 변화가 생기는데요.
건강보험공단에서는 건보료 연말정산 작업을 마쳤고 조만간 각 사업장에 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누군가에게는 폭탄이 되고 또 누군가에게는 보너스가 될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과연 더 받게 될까요, 혹은 덜 받게 될까요?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은 전년도 소득 기준을 기준으로 합니다. 올해를 예로 들자면, 2021년 연말정산 기준 데이터를 가지고 2022년에 건강보험료를 납부하셨던 것과, 2022년 연말정산을 2023년에 확정 짓고, 확정된 2022년 소득을 토대로 2021년 연말정산 기준이랑 차이를 정산하는 것입니다.

 

연말정산 마감일은 3월 10일, 그때 한 해 소득이 확정됩니다. 그런데 1년 사이에 상여금 등을 받거나 하면서 변동된 소득이 그때 확정이 되므로 그 자료를 가지고 4월에 공단에서 정산을 하게 됩니다.

4월에 직장인 분들의 월급 명세서를 보면, 갑자기 ‘왜 보험료가 이렇게 많이 나왔지?’라는 분들이 계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험료가 인상된 것이 아니고 재작년 소득이랑 작년 소득을 비교해서 작년 소득이 높으면, 즉 연봉이 늘어나면 추가로 내게 되는 보험료 연말정산 때문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하지만 반대를 생각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정말 슬프게도 연봉이 삭감된다거나 아니면 사업체 사정이 좋지 않아서 상여금이 더 적게 들어와서 소득 수준이 낮아지면 차액을 반환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 반환 차액에 대한 작년 데이터를 보자면, 965만 명이 추가로 납부했습니다. 그리고 3분의 1 정도인 310만 명이 돌려받았습니다.

즉, 월급이나 성과급 같은 게 줄어든 분들이 310만 명이 된다는 뜻이겠죠...
보수가 줄어든 분들, 돌려받는 분들은 평균 8만 8천 원을 돌려받았다고 하고, 보수가 늘어난 분들, 더 내신 분들은 평균 20만 원을 추가로 납부했다고 합니다.

이럴 거면 연봉이 오르고 20만 원을 추가로 납부하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드네요.


추가로 납부하는 경우에 평균치가 20만 원 정도라고 했지만, 그 이상 보험료를 많이 내야 하는 경우에 좀 부담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정산 후에 9,890원 이상 추가 납부 보험료가 발생한 분들을 대상으로 원래 분할 납부가 5회 분할 납부였지만, 이번에 정부가 물가상승률과 코로나 시국의 불완전 종식 등의 이유로 분할 납부를 이번에 최대 10회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10회 내에서 본인이 정하셔서 나눠서 낼 수 있으니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앱으로 건강보험 연말정산 내역 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The건강보험을 앱을 설치한 후

오른쪽 아래의 전체 메뉴 - 민원여기요 - 조회 - 건강보험 연말정산내역 조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이 월급에서 빠져나가기 전에 먼저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직장가입자 기준의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